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언젠가는 퇴직하게 되죠.
그때 가장 먼저 궁금한 건
**"세금 떼고 실제로 내 손에 들어오는 퇴직금이 얼마냐?"**입니다.
실제로 계산해보면 생각보다 세금이 꽤 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퇴직소득세 계산법을
간단한 계산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.
✅ 퇴직금 계산 기본 공식
퇴직금은 다음 공식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.
1년 근속 시 퇴직금 = [(1일 평균임금) × 30일] × 근속연수
- 평균임금 = 최근 3개월간 급여총액 ÷ 90일
- 근속연수 = 입사일~퇴직일까지의 연수 (6개월 단위 반올림)
✅ 퇴직소득세는 이렇게 계산돼요
퇴직금 전액을 받는 게 아니라,
여기에서 **"퇴직소득세 + 지방소득세(10%)"**가 빠져나갑니다.
퇴직소득세 계산 흐름 (간단화 버전)
- 퇴직소득 = 총 퇴직금 – 근속연수 공제
- 과세표준 = 퇴직소득 ÷ 2 (평균 과세)
- 소득세율 적용 → 산출세액 계산
- 지방소득세 = 소득세의 10% 추가
💡 퇴직소득은 ‘분류과세’라서 일반 소득세보다 세율이 낮습니다.
→ 장기근속일수록 세율이 더 낮게 적용
✅ 실전 예시: 내가 받을 퇴직금은 얼마?
👤 예시 조건
- 만 34세 / 8년 근무
- 월 평균 급여: 350만 원
- 최근 3개월 평균임금: 350만 원 기준
- 별도 수당 없음 / 일반 회사원
계산 과정
- 퇴직금 총액 = 350만 원 × 12개월 × 8년 ÷ 12 = 2,800만 원
- 근속연수 공제 = 800만 원 (기본공제 + 장기공제)
- 퇴직소득 = 2,800만 – 800만 = 2,000만 원
- 과세표준 = 2,000만 ÷ 2 = 1,000만 원
- 소득세율 적용 (1,000만 원 구간: 6%) → 약 60만 원
- 지방소득세 = 6만 원
📌 총 세금 = 약 66만 원
📌 실수령 퇴직금 = 약 2,734만 원
✅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기 추천
복잡한 계산 안 하고
아래 사이트에서 정확한 금액 확인 가능해요:
- 국세청 퇴직소득세 계산기
- 삼쩜삼 퇴직금 계산기
- [토스앱 퇴직금 계산기] → ‘퇴직금’ 검색
👉 월급 / 근속연수 / 퇴사일만 입력하면 자동 계산됩니다.
✅ 절세 팁: 퇴직금 절세를 원한다면?
- 퇴직연금(IRP) 수령 선택 가능 여부 확인
→ 일시금 대신 연금으로 수령하면 세율 3.3~5.5% 수준으로 낮아짐 - 중도 퇴사 시 퇴직금 쪼개기
→ 동일 연도 내 퇴직금+상여금 합산 시 세금 증가 가능성 주의 - 퇴직 이전에 연봉 확 늘리는 구조는 세금 폭탄 주의
✅ 요약 정리
- 퇴직금은 월급의 1개월치 × 근속연수로 계산
- 실수령액은 퇴직소득세 + 지방세 제하고 나옴
- 평균적으로 퇴직금의 약 2~6%가 세금으로 공제됨
- 장기근속 + 연금 수령 시 세율 가장 유리
- 국세청 계산기 활용 시 가장 정확
'💸 생활비 절약 & 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강보험료 줄이는 방법 (2025년 기준 정리) (8) | 2025.06.22 |
---|---|
자동차 보험료 줄이는 방법 (2025년 최신 팁 정리) (1) | 2025.06.22 |
연금저축 해지하면 세금 얼마나 낼까? 실제 조건과 계산 정리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6.22 |